반응형
문제
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격자 형태의 미로에서 탈출하려고 합니다. 각 칸은 통로 또는 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벽으로 된 칸은 지나갈 수 없고 통로로 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. 통로들 중 한 칸에는 미로를 빠져나가는 문이 있는데, 이 문은 레버를 당겨서만 열 수 있습니다. 레버 또한 통로들 중 한 칸에 있습니다. 따라서, 출발 지점에서 먼저 레버가 있는 칸으로 이동하여 레버를 당긴 후 미로를 빠져나가는 문이 있는 칸으로 이동하면 됩니다. 이때 아직 레버를 당기지 않았더라도 출구가 있는 칸을 지나갈 수 있습니다. 미로에서 한 칸을 이동하는데 1초가 걸린다고 할 때, 최대한 빠르게 미로를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려 합니다. 미로를 나타낸 문자열 배열 ma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미로를 탈출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만약, 탈출할 수 없다면 -1을 return 해주세요. |
제한사항 5 ≤ maps의 길이 ≤ 100 5 ≤ maps[i]의 길이 ≤ 100 maps[i]는 다음 5개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 S : 시작 지점 E : 출구 L : 레버 O : 통로 X : 벽 시작 지점과 출구, 레버는 항상 다른 곳에 존재하며 한 개씩만 존재합니다. 출구는 레버가 당겨지지 않아도 지나갈 수 있으며, 모든 통로, 출구, 레버, 시작점은 여러 번 지나갈 수 있습니다. |
해석
배열로 된 미로를 최단 시간으로 빠져나가는 문제이다. 중요한 점은,
1. 레버를 당겨야 출구가 열린다.
2. 레버를 당기지 않았더라도 출구가 있는 칸을 지나갈 수 있다.
3. 모든 통로, 출구, 레버, 시작점은 여러 번 지나갈 수 있다.
BFS를 이용하여 풀기로 하였고, 시작 지점부터 레버까지의 최단 시간 + 레버에서 출구까지의 최단 시간을 구하면 정답이 될 것이다.
에러 핸들링
1. 큐를 이용하는 BFS는 매번 큐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므로, 그 크기에 맞추어 반복문을 돌려주어야 하는데, 실수로 그 부분을 빼먹어서, 매 초 모든 경우의 수를 돌도록 만들어 버렸다.
2. 전역 배열을 사용할 때, 원본 배열을 건들 경우 한 번 다시 초기화 해주는 습관을 길러야 할 것 같다.
3. 다른 경우의 수 중에서 더 짧은 시간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여 Math.min함수를 통해 최솟값을 갱신해 주었는데, 생각해보니 시간 별로 체크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럴 필요 없이 return 해버리면 된다는 것을 놓쳤다.
코드
import javafx.util.Pai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import java.util.Arrays;
class Solution {
static String[][] mapArr;
static Boolean[][] visited;
public static int solution(String[] maps) {
int answer = 0;
int[] s = new int[2];
int[] l = new int[2];
mapArr = new String[maps.length][];
visited = new Boolean[maps.length][];
for (int i = 0; i < mapArr.length; i++) {
mapArr[i] = maps[i].split("");
visited[i] = new Boolean[maps[i].length()];
if (maps[i].contains("S")) {
s[0] = i;
s[1] = maps[i].indexOf("S");
}
if (maps[i].contains("L")) {
l[0] = i;
l[1] = maps[i].indexOf("L");
}
}
for (Boolean[] row : visited) {
Arrays.fill(row, false);
}
int stol = bfs(s, "L", visited);
if (stol == Integer.MAX_VALUE) {
answer = -1;
return answer;
}
for (Boolean[] row : visited) {
Arrays.fill(row, false);
}
int ltoe = bfs(l, "E", visited);
if (ltoe == Integer.MAX_VALUE) {
answer = -1;
return answer;
}
answer = stol + ltoe;
return answer;
}
static int bfs(int[] start, String end, Boolean[][] visited) {
ArrayDeque<Pair<Integer, Integer>> q = new ArrayDeque<>();
int second = 0;
int[] ud = {0, 0, 1, -1};
int[] lr = {-1, 1, 0, 0};
q.offer(new Pair<>(start[0], start[1]));
visited[start[0]][start[1]] = true;
while (!q.isEmpty()) {
int size = q.size();
for (int s = 0; s < size; s++) {
Pair<Integer, Integer> index = q.poll();
int ci = index.getKey();
int cj = index.getValue();
for (int i = 0; i < 4; i++) {
int di = ci + ud[i];
int dj = cj + lr[i];
if (di >= 0 && di < mapArr.length && dj >= 0 && dj < mapArr[0].length) {
if ((mapArr[di][dj].equals("O") || mapArr[di][dj].equals("S") || mapArr[di][dj].equals("E")|| mapArr[di][dj].equals(end)) && !visited[di][dj]) {
visited[di][dj] = true;
q.offer(new Pair<>(di, dj));
if (mapArr[di][dj].equals(end)) {
return second + 1;
}
}
}
}
}
second++;
}
return Integer.MAX_VALUE;
}
}
728x90
반응형
'Coding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FS (2) - 게임 맵 최단거리 (0) | 2025.02.06 |
---|---|
우선순위 큐 (1) - 호텔 대실 (1) | 2025.02.02 |
투 포인터 (1) -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(0) | 2025.02.01 |
백트래킹 (2) - 이모티콘 할인행사 (0) | 2025.01.31 |
백트래킹 (1) - 피로도 (1) | 2025.01.29 |